[박민규] 차미령,「환상은 어떻게 현실을 넘어서는가_ 박민규와 조하형의 소설」 * 박민규 읽기 차미령,「환상은 어떻게 현실을 넘어서는가_ 박민규와 조하형의 소설」, 창작과비평 2006년 여름호(통권 132호), 2006.6, page(s): 2-471. 0. 요약 차미령은 오늘날 “젊은 소설이 환상문법을 빌려 누리고 있는 서사적 자유”가 “유례없이 낯선 것”이지만, “자유로운 환상과 견고한 현실 간의 .. 즐공열공학교 2011.07.12
[박민규] 서영인,「‘슈퍼’한 세상을 향해 날리는 적막한 유머- 박민규론」 * 박민규 읽기 서영인,「‘슈퍼’한 세상을 향해 날리는 적막한 유머- 박민규론」, 실천문학 2005년 봄호(통권 77호), 2005.2, page(s): 8-388. 0. 요약 서영인은 박민규의 작품을 ‘펌질’, ‘리플’, ‘짤방’에 비유하면서 분석한다. 즉, “박민규의 글쓰기는 키보드의 자판 중 ctrl 키를 유난히 자주 활용하는 .. 즐공열공학교 2011.07.11
[박민규] 양진오,「당대의 발견과 현존하는 리얼- 박민규, 오수연 소설을 읽으며」 * 박민규 읽기 양진오,「당대의 발견과 현존하는 리얼- 박민규, 오수연 소설을 읽으며」, 실천문학 2005년 겨울호(통권 80호), pp.111~123. 0. 요약 양진오는 “리얼리즘의 존속은 한국사회의 전체적인 성격과 근본적으로 관련되는 문제로(···) 실질적 민주주의의 결여 등 민중과 지식인의 운명을 결정적.. 즐공열공학교 2011.07.08